35세 노베이스 1달 준비하여 첫시험 87점 받았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공부 시작 배경
대학 졸업 이후 직장생활 및 자영업으로 약 10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24년.12.01.부터 공무원 준비를 결정하게 되었고, 인증 취득을 위해 지텔프를 선택하였습니다.
학사 시절만 해도 (정확하진 않으나) 제 기억 속에 지텔프라는 시험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알아보니 문항수 부담이 적고 진입장벽이 낮다는 의견이 많아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공부 접근
워낙 오랜만에 펜을 다시 잡으니, 적응이 안되서 혼났습니다. 처음엔 무엇보다 책상에 앉아 있는 것이 쉽지 않더군요. 자꾸 일어나고 싶고 책장을 넘기기가 어려웠습니다.
무턱대고 시작하기 보다 가장 먼저 얼개부터 잡았습니다. 지텔프는 어떤 시험인지부터 알기 위해 가장 기본인 출제 범위/형태/난이도 등에 대한 숙지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영어는 문법, 구조, 어휘 등 범위와 분야가 넓은데 문법은 어떤 목차가 출제범위인지, 듣기는 지문 유형이나 난이도 등이 어떠한지, 어휘는 어떤 분야 중심인지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다행히 문법 범위가 한정적이고, 정답 패턴도 유형화 되어 있어 공부량이 적은 장점이 보였습니다. 어휘 역시 전공어휘보다 일상어휘가 많아 암기가 부담스럽지 않았습니다. 독해는 어휘가 채워지면 어렵지 않은 수준이어서 어휘량과 독해력은 비례해서 쌓여나갔던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 지텔프 시험은 2가지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첫째는 듣기입니다. 듣기는 유형이나 난이도를 아는 것 만으로는 대응이 안됩니다. 특히 지텔프는 듣기 문제가 다소 긴 경우가 있고, 문제지에 질문을 보여주지 않아 무엇을 묻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부터 문제입니다. 또한 대화가 상대적으로 길고, 특정 부분을 듣지 못하면 해당 문제가 넘어가는 특징이 있습니다.(소급 해결이 거의 불가능하더군요) 듣기는 논리적 사고에 중점을 둔 챕터라기보다 1차원적으로 문제이해->보기이해->직청직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저 역시 듣기 점수가 낮은 편이지만(핑계이지만 주변에 앉은 분들이 시험지를 계속 넘겨서 집중에 방해를 많이 받았습니다) 대비하며 제일 효과를 본 방법은 스크립트 리딩입니다. 듣기 파일과 함께 동일한 속도로 스크립트를 읽어나가는 것입니다. 발음은 차치하고 녹음파일 속도에 맞춰 따라 읽는 것이 직청직해의 관건이었습니다. 대화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내가 그 속도에 맞춰서 들어야만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이죠. 동일한 속도로 읽어보면 덩달아 이해력 속도도 같이 맞춰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다음 노트테이킹한 문제에 맞춰 정답을 푸는 연습을 더하니 듣기 대비가 가능해졌습니다.
둘째는 페러프레이징입니다. 처음 모의고사를 볼 때 고쳐쓴 문장 문제(추론)를 거의 다 틀렸습니다. 문제는 근거를 기준으로 정답이 꾸려져 있는데, 정작 근거로 푸는 훈련이 안되어 있다보니, 이해로 풀려고 하여 자꾸 틀렸습니다. 이해를 근거로 논리상 접근하면 답이 되는 선지도 꽤 있었습니다. 지텔프 식으로 근거에 연계한 정답을 따라가는 노력을 많이 했던 것이 주요했던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하는 공부라는 것은 몸으로 하는 것과는 결을 달리 하는 것 같습니다. 몸으로 익히는 것은 자기 숙달로 자기 노하우로 흡수 발전하는 경향이 있는데, 공부는 해당 내용에 빠져들어 그 내용 자체에 적응해나가는 지향점에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지텔프 모의고사는 도합 14회 풀었고, 듣기는 14회치 따라 읽기를 전부 시행하였습니다. 페러프래이징 오답은 따로 해설지에 표기하여 오답 기록을 해두며 다시 보곤 했습니다. 1달 동안 오롯이 지텔프 공부만 하며 지냈습니다.
첫 공부, 첫 시험부터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고, 공부 감각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 글 읽으시는 모든 분들 제 좋은 기운 받아가셔서 모두 원하시는 결과 얻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도 잘 챙기시구요. 감사합니다.
대학 졸업 이후 직장생활 및 자영업으로 약 10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24년.12.01.부터 공무원 준비를 결정하게 되었고, 인증 취득을 위해 지텔프를 선택하였습니다.
학사 시절만 해도 (정확하진 않으나) 제 기억 속에 지텔프라는 시험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알아보니 문항수 부담이 적고 진입장벽이 낮다는 의견이 많아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공부 접근
워낙 오랜만에 펜을 다시 잡으니, 적응이 안되서 혼났습니다. 처음엔 무엇보다 책상에 앉아 있는 것이 쉽지 않더군요. 자꾸 일어나고 싶고 책장을 넘기기가 어려웠습니다.
무턱대고 시작하기 보다 가장 먼저 얼개부터 잡았습니다. 지텔프는 어떤 시험인지부터 알기 위해 가장 기본인 출제 범위/형태/난이도 등에 대한 숙지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영어는 문법, 구조, 어휘 등 범위와 분야가 넓은데 문법은 어떤 목차가 출제범위인지, 듣기는 지문 유형이나 난이도 등이 어떠한지, 어휘는 어떤 분야 중심인지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다행히 문법 범위가 한정적이고, 정답 패턴도 유형화 되어 있어 공부량이 적은 장점이 보였습니다. 어휘 역시 전공어휘보다 일상어휘가 많아 암기가 부담스럽지 않았습니다. 독해는 어휘가 채워지면 어렵지 않은 수준이어서 어휘량과 독해력은 비례해서 쌓여나갔던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 지텔프 시험은 2가지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첫째는 듣기입니다. 듣기는 유형이나 난이도를 아는 것 만으로는 대응이 안됩니다. 특히 지텔프는 듣기 문제가 다소 긴 경우가 있고, 문제지에 질문을 보여주지 않아 무엇을 묻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부터 문제입니다. 또한 대화가 상대적으로 길고, 특정 부분을 듣지 못하면 해당 문제가 넘어가는 특징이 있습니다.(소급 해결이 거의 불가능하더군요) 듣기는 논리적 사고에 중점을 둔 챕터라기보다 1차원적으로 문제이해->보기이해->직청직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저 역시 듣기 점수가 낮은 편이지만(핑계이지만 주변에 앉은 분들이 시험지를 계속 넘겨서 집중에 방해를 많이 받았습니다) 대비하며 제일 효과를 본 방법은 스크립트 리딩입니다. 듣기 파일과 함께 동일한 속도로 스크립트를 읽어나가는 것입니다. 발음은 차치하고 녹음파일 속도에 맞춰 따라 읽는 것이 직청직해의 관건이었습니다. 대화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내가 그 속도에 맞춰서 들어야만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이죠. 동일한 속도로 읽어보면 덩달아 이해력 속도도 같이 맞춰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다음 노트테이킹한 문제에 맞춰 정답을 푸는 연습을 더하니 듣기 대비가 가능해졌습니다.
둘째는 페러프레이징입니다. 처음 모의고사를 볼 때 고쳐쓴 문장 문제(추론)를 거의 다 틀렸습니다. 문제는 근거를 기준으로 정답이 꾸려져 있는데, 정작 근거로 푸는 훈련이 안되어 있다보니, 이해로 풀려고 하여 자꾸 틀렸습니다. 이해를 근거로 논리상 접근하면 답이 되는 선지도 꽤 있었습니다. 지텔프 식으로 근거에 연계한 정답을 따라가는 노력을 많이 했던 것이 주요했던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하는 공부라는 것은 몸으로 하는 것과는 결을 달리 하는 것 같습니다. 몸으로 익히는 것은 자기 숙달로 자기 노하우로 흡수 발전하는 경향이 있는데, 공부는 해당 내용에 빠져들어 그 내용 자체에 적응해나가는 지향점에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지텔프 모의고사는 도합 14회 풀었고, 듣기는 14회치 따라 읽기를 전부 시행하였습니다. 페러프래이징 오답은 따로 해설지에 표기하여 오답 기록을 해두며 다시 보곤 했습니다. 1달 동안 오롯이 지텔프 공부만 하며 지냈습니다.
첫 공부, 첫 시험부터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고, 공부 감각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 글 읽으시는 모든 분들 제 좋은 기운 받아가셔서 모두 원하시는 결과 얻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도 잘 챙기시구요.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
지텔프 87점.pdf (577.0K)
7회 다운로드 | DATE : 2025-01-10 17:01:22
- 이전글노베이스 4일만에 74점 25.01.10
- 다음글3일독학하고 레벨2 83점 받은 후기!! 25.01.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